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

📌 미국과 한국의 관세 협상, 방위비가 언급되지 않은 이유

by 이크로(이코노미그로우) 2025. 4. 26.

 

안녕하세요. 이코노미 그로우 입니다. 

이번에 한국과 미국이 관세협상을 진행하면서 방위비가 언급되지 않았는데요.

그 배경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고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져봤습니다. 

 

✅ 트럼프의 관세 협상 난항: 90개국을 동시에 상대한 결과

  • 트럼프 대통령은 90개국과 동시에 관세 협상을 추진했지만, 주요국들의 버티기로 난항
  • 주요국(일본, 한국, EU 등)이 합의를 미루자, 다른 나라들도 관망
  • 트럼프의 과도한 요구와 돌발 변수로 협상 지연
  • 시간이 트럼프 편이 아닌 상황, 90일 유예기간이 소진 중

✅ 트럼프가 선택할 카드: 완화냐, 강경책이냐

  • 무리한 요구를 줄이고 빠르게 타협할 가능성
  • 반대로 강경하게 주요국부터 압박할 가능성도 존재
  • 어떤 방향이든 결과에 따라 글로벌 증시에 영향

✅ 한미 협상 결과: "방위비 분담" 요구가 없었다

  • 한국과 미국의 협상은 예상보다 순조롭게 마무리
  • 방위비 문제는 공식 협상 안건에 오르지 않음
  • 한국이 무역, 에너지, 투자 확대를 카드로 제시
  • 환율 문제는 미국 재무장관이 거론했지만, 방위비는 빠짐

✅ 왜 방위비 언급이 없었을까? 전략적 배경

  • 한국은 방산(조선, 군수산업) 분야에서 미국에 실질적 지원
  • 유럽에 무기 수출 확대, 미국 군함 건조 및 수리 지원
  • 현대중공업 등 한국 조선업체가 미국 내 조선소 인수 추진
  • 이런 '협력 카드' 덕분에 방위비 언급 자체를 막았다는 분석

✅ 한국 협상의 핵심 카드: 선제적 기업 투자

  • 한국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미국 투자 확대를 약속
  • 미국 리쇼어링 전략에 부합하는 움직임
  • 관세 협상에서 좋은 인상을 남겨 방어에 성공

✅ 앞으로 벌어질 일들: 비관세 장벽 철폐 요구

  • 미국은 추가로 비관세 장벽 해제를 요구할 가능성
  • 대표 이슈:
    • 30개월 미만 소고기 수입 확대
    • 구글 정밀 지도 데이터 반출 요구
    • 약가 인하, 스크린쿼터 제도 완화 요구 가능성

✅ 업종별 영향 예상: 기회와 위기

  • 국내 지도, 내비게이션 플랫폼(네이버 지도, 티맵, 카카오맵) 타격 예상
  • 반면, 외국인 관광객 증가로 오프라인 관광업종 수혜 가능
  • 화장품, 식품 등 글로벌 경쟁력 있는 K브랜드들은 오히려 긍정적
  • 수출 제조업(특히 자동차 부품) 업종은 주의 필요

✅ 환율 문제: 단순한 절상 요구가 아니다

  • 환율 절상이 외자 유입을 바로 부르는 것은 아님
  • 아시아 경기 회복과 수출 경쟁력 고려해야
  • 일본 엔화 강세 상황이 한국에 유리하게 작용할 가능성도 존재

✅ 중국 협상과 연결된 게임: 한국·일본이 키를 쥐다

  • 중국은 한국과 일본이 유리한 협상 결과를 얻기를 기대
  • 한국과 일본이 관세 압박을 덜 받아야, 중국 협상에서 유리해질 수 있음
  • 미중 관세 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 결론: 지금은 "속도전"이 중요하다

  • 미국은 빨리 협상 성과를 내야 하는 압박을 받고 있음
  • 한국은 이 상황을 활용해 유리한 조건을 이끌어낼 수 있음
  • 트럼프의 전략(완화냐 강경이냐)에 따라 글로벌 시장 변동성 확대 예상

📌 마무리 한마디

이번 한미 관세 협상에서 방위비 분담이 언급되지 않은 것은,
한국의 방산·조선 산업이 미국과 강하게 연결되어 있고,
기업들의 선제적인 대미 투자가 좋은 협상 카드로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진행될 실무 협상에서도, 업종별로 영향 받을 기업과 시장을 꼼꼼히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에도 이런 심층 분석과 함께 찾아올게요.
구독과 좋아요, 알림 설정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