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

한국 HBM 생태계에 위기: SK하이닉스‧한미반도체 갈등이 왜 생겼을까?

by 이크로(이코노미그로우) 2025. 4. 26.

 

안녕하세요! 이코노미 그로우 입니다. 

최근 한국의 HBM 생태계가 위기에 처했는데요 

왜 그런 일들이 발생하고 있는지 정리해봤어요!

 

HBM, 한국 반도체 산업의 최후의 보루

  • HBM(High Bandwidth Memory)은 AI 시대에 필수적인 초고속 메모리 반도체입니다.
  • SK하이닉스가 시장을 선도하며, 핵심 장비는 한미반도체의 TC본더가 독점 공급했습니다.

 

한미반도체, HBM 핵심 장비 시장 65% 장악

  • D램을 수직으로 정교하게 쌓아올리는 초정밀 본딩 장비.
  • 1마이크로미터 이하 오차도 허용하지 않는 기술력.
  • SK하이닉스‧한미반도체는 HBM 신화의 핵심 동맹이었습니다.

SK하이닉스, 하나세미텍과의 공급 계약 전격 체결

  • 3·4월 두 차례 210억원 규모 계약 체결.
  • 공급처 다변화로 장기 리스크 분산 시도.
  • 이에 한미반도체가 강력히 반발하며 보도자료를 통해 직격탄.

한미반도체의 초강경 조치: 가격 인상‧AS팀 철수

  • 장비 가격 25% 인상 통보.
  • SK하이닉스 전담 AS 인력 전면 철수.
  • 생산라인 차질 위기, 공급 차단 가능성 고조.

양측 모두에 치명적: 왜 극단까지 갔나?

  • SK하이닉스: 공급망 안정성 확보, 가격 협상력 강화 목적.
  • 한미반도체: 기술 유출 우려와 매출 급락 리스크 경계.
  • 갈등이 장기화되면 양측 모두 피해 불가피.

과거 삼성 사건이 키운 기술 보호 집착

  • 한미반도체, 삼성 상대로 기술 탈취 소송 승소 경험.
  • 이후 삼성과 거래 단절, 기술 보호 DNA 강화.
  • 현재 하나세미텍과도 기술 유출 소송 진행 중.

SK하이닉스의 구매전략과 '슈퍼 의리' 논란

  • 한미반도체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구조 부담.
  • 하나세미텍 도입으로 가격 협상력 확보 시도.
  • 차세대 HBM4 장비 개발 파트너로 하나세미텍 선정.

미국 마이크론, 한미반도체와 손잡을까?

  • 한미반도체, 마이크론에도 TC본더 납품 시작.
  • HBM4 공정 개발에서 협력 가능성 부상.
  • 한‧미 양강 구도 형성될 가능성 대두.

삼성전자의 변수: 가능성은 낮지만 무시할 수 없다

  • 삼성은 자체 장비와 일본 공급사 활용 중.
  • 그러나 HBM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전략 변화 가능성 존재.

한국 HBM 생태계 전체 위기론 부상

  • HBM은 AI 필수지만 가격 부담 심화.
  • 시장 변화 속도에 따라 HBM 수요 급감 가능성.
  • HBM에 "올인"한 한국 반도체 산업 구조의 리스크 노출.

 

결론: K-반도체, 내부 분열을 넘어서야 한다

  • SK하이닉스와 한미반도체, 상생 방안 모색 필수.
  • 내부 분열은 미국과 경쟁국에 기회 제공.
  • 한국 반도체 산업, 파운드리‧시스템 반도체 투자 확대 필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