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코노미 그로우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 주식 투자자의 필수 절세 전략: 양도세·배당세부터 배우자 증여까지 정리해봤어요.
1. 미국 주식 투자, 세금은 2가지만 기억하세요
미국 주식 투자 시 알아야 할 세금은 딱 2가지입니다.
- 배당소득세
- 양도소득세
- 배당소득세는 미국에서 15% 원천징수되며, 우리나라에서 추가로 납부하지 않습니다.
- 다만 연간 금융소득 2천만원 초과 시, 종합소득에 합산 과세될 수 있습니다.
- 양도소득세는 연간 250만원 초과 차익에 대해 **22% 세율(지방세 포함)**이 부과됩니다.
2. 증권사 선택이 세금을 바꾼다? 선입선출법 vs 이동평균법
주식 취득가액 산정 방식은 증권사마다 다릅니다.
- 선입선출법: 먼저 산 주식을 먼저 판 걸로 간주. 단기 차익이 크게 잡혀 세금이 커질 수 있음
- 이동평균법: 전체 매수 가격을 평균내 세금 부담이 줄어듬
👉 분할 매수·분할 매도 스타일이라면 이동평균법 채택 증권사가 유리합니다.
3. 절세 핵심 전략: 배우자 증여 활용법
- 배우자 간 증여는 10년간 6억까지 증여세 비과세
- 현재 시점의 고가 주식을 증여하면 취득가액이 높아져 양도세 절감
- 단, 1년 이상 보유 요건 충족 시에만 인정 (2024년부터 변경)
💡 예: 10달러에 산 팔란티어 주식을 100달러에 증여하면, 배우자는 100달러가 취득가액이 됨
하지만 1년 미만 보유 후 매도하면 증여 전 가격으로 과세되니 주의해야 합니다.
4. 손해도 전략이다! 손익 상계와 공제 활용법
- 연간 250만원까지 양도차익 기본공제
- 이익+손해 종목을 적절히 매도해 상계하면 세금 줄일 수 있음
- 손절 시기를 조정해 절세 전략으로 활용 가능
💡 수익 종목만 팔면 세금 부담이 커짐 → 손해 종목과 함께 매도하면 세금 0원 가능
5. 실전 꿀팁: 증여, 매도, 매수 시점 전략적으로 분산하자
- 연말에 수익을 분산 실현하거나, 2월로 넘기면 공제 리셋
- 배우자와 각각 6억 증여 가능 = 부부 합산 최대 12억까지 증여세 비과세 가능
- 장기적으로 상승 확신이 있는 종목만 증여 전략에 활용해야 함
결론
미국 주식 투자 수익을 지키기 위해선 세금 전략이 필수입니다.
세금은 '줄이는 사람'이 결국 더 높은 수익률을 얻게 됩니다.
양도세, 배당소득세부터 증여세까지, 각자의 포트폴리오와 투자 스타일에 맞게 절세 전략을 세워보세요.
반응형
'경제&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HD 투자자 필독] 하락장에서도 배당 ETF를 믿고 모아가야 하는 이유 (1) | 2025.04.23 |
---|---|
배당성장주 투자로 노후 자산 만들기: 복리효과와 우선주 전략까지 완벽 정리 (0) | 2025.04.23 |
30대: 1,000만원으로 시작하는 나의 노후 설계 및 소비 습관 개선 (2) | 2025.04.22 |
2025년 상반기 주식시장 폭락, 그러나 유동성은 넘쳐난다: 지금이 매수 기회일까? (1) | 2025.04.22 |
2025 미국 월배당 ETF, JEPI vs JEPQ 비교 분석, 이걸로 끝내세요 (0) | 2025.04.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