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

미국 ETF 투자, 국내 상장 vs 해외 상장 뭐가 더 유리할까?

by 이크로(이코노미그로우) 2025. 4. 23.

 

안녕하세요! 이코노미 그로우 입니다.

 

해외 주식 투자를 시작하려는 분들이 가장 많이 고민하는 질문 중 하나는 바로 이것입니다:

"국내 상장 미국 ETF와 해외 상장 ETF 중 어디에 투자하는 게 더 유리할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S&P500과 나스닥100 ETF를 중심으로, 국내 상장 ETF와 해외 상장 ETF의 수수료, 세금, 계좌 유형, 환전, 실수령액까지 모두 비교해 드립니다.

 


✅ 1. ETF 기본 개념 및 분류

  • 국내 상장 미국 ETF
    • 예: 타이거 S&P500, 코덱스 나스닥100
    • 국내 증시에 상장, 원화로 매수 가능
    • ISA 계좌, 연금계좌 투자 가능
  • 해외 상장 미국 ETF
    • 예: SPLG, QQQM, SPY, IVV
    • 미국 증시에 상장, 달러 환전 필요
    • 해외직구 계좌에서만 매수 가능

✅ 2. 수수료 비교 (운용보수)

구분ETF 종목수수료

국내 상장 라이스 S&P500 0.14%
국내 상장 코덱스 나스닥100 TR 0.17%
해외 상장 SPLG 0.02%
해외 상장 QQQM 0.15%

장기투자자에게는 SPLG 수수료 가장 유리


✅ 3. 투자 가능한 계좌 차이

  • 국내 상장 ETF: 일반계좌, ISA, 연금저축펀드, IRP 모두 가능
  • 해외 상장 ETF: 해외직구 계좌만 가능 (ISA/연금 불가)

✅ 4. 환전 및 통화 차이

  • 국내 상장 ETF: 원화 매수 가능 (자동 환노출)
  • 해외 상장 ETF: 달러 환전 필요 (환전 수수료 발생)

✅ 5. 세금 비교

항목 국내 일반계좌 ISA계좌 해외직투계좌
매매차익 15.4% 비과세 한도 초과 시 9.9% 250만원 초과 22%
분배금(배당) 15.4% 동일 15%
손익통산 불가 가능 가능
종합과세 포함 여부 포함 제외 분배금만 포함

세금 측면에선 ISA + 국내 상장 ETF 조합이 유리


✅ 6. 실수령 금액 예시 (매매차익 기준)

  • 1천만 원 수익 시 실수령액
    • 국내 일반계좌: 약 846만원
    • ISA(서민형): 약 914만원
    • 해외직투: 약 835만원
  • 1억 수익 시 실수령액
    • ISA: 약 9,023만원
    • 해외직투: 약 7,855만원
    • ISA와 해외직투 차이: 약 1,168만원

✅ 7. 어떤 투자자가 어떤 계좌를 선택해야 할까?

ISA + 국내 상장 ETF 추천

  • 연간 투자금 2천만원 이하
  • 3년간 자금 묶이는 것 부담 없음
  • 절세 및 종합과세 회피 목적

해외직투 + 해외 상장 ETF 추천

  • ISA 납입한도 초과
  • 환전된 달러로 장기 자산 운용 희망
  • 자유로운 입출금 필요 (ISA보다 유동성 높음)

✅ 8. 수수료 기준 최저 ETF 정리

  • 국내 상장 ETF
    • S&P500: 라이스 미국 S&P500 (0.14%)
    • 나스닥100: 코덱스 미국 나스닥100 TR (0.17%)
  • 해외 상장 ETF
    • S&P500: SPLG (0.02%)
    • 나스닥100: QQQM (0.15%)

✅ 결론: 당신에게 맞는 ETF는?

"무조건 ISA가 좋다"는 말은 틀렸습니다.

  • 단기 유동성이 필요한 사람: 해외직투 + 해외 상장 ETF
  • 절세를 극대화하고 싶은 장기 투자자: ISA + 국내 상장 ETF
  • 연간 투자금이 많은 경우: ISA와 해외직투 병행 투자 전략

ETF는 단순히 수수료만 비교할 게 아니라, 세금 구조, 계좌 특징, 나의 투자 목적까지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