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코노미 그로우 입니다.
해외 주식 투자를 시작하려는 분들이 가장 많이 고민하는 질문 중 하나는 바로 이것입니다:
"국내 상장 미국 ETF와 해외 상장 ETF 중 어디에 투자하는 게 더 유리할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S&P500과 나스닥100 ETF를 중심으로, 국내 상장 ETF와 해외 상장 ETF의 수수료, 세금, 계좌 유형, 환전, 실수령액까지 모두 비교해 드립니다.
✅ 1. ETF 기본 개념 및 분류
- 국내 상장 미국 ETF
- 예: 타이거 S&P500, 코덱스 나스닥100
- 국내 증시에 상장, 원화로 매수 가능
- ISA 계좌, 연금계좌 투자 가능
- 해외 상장 미국 ETF
- 예: SPLG, QQQM, SPY, IVV
- 미국 증시에 상장, 달러 환전 필요
- 해외직구 계좌에서만 매수 가능
✅ 2. 수수료 비교 (운용보수)
구분ETF 종목수수료
국내 상장 | 라이스 S&P500 | 0.14% |
국내 상장 | 코덱스 나스닥100 TR | 0.17% |
해외 상장 | SPLG | 0.02% |
해외 상장 | QQQM | 0.15% |
➡ 장기투자자에게는 SPLG 수수료 가장 유리
✅ 3. 투자 가능한 계좌 차이
- 국내 상장 ETF: 일반계좌, ISA, 연금저축펀드, IRP 모두 가능
- 해외 상장 ETF: 해외직구 계좌만 가능 (ISA/연금 불가)
✅ 4. 환전 및 통화 차이
- 국내 상장 ETF: 원화 매수 가능 (자동 환노출)
- 해외 상장 ETF: 달러 환전 필요 (환전 수수료 발생)
✅ 5. 세금 비교
항목 | 국내 일반계좌 | ISA계좌 | 해외직투계좌 |
매매차익 | 15.4% | 비과세 한도 초과 시 9.9% | 250만원 초과 22% |
분배금(배당) | 15.4% | 동일 | 15% |
손익통산 | 불가 | 가능 | 가능 |
종합과세 포함 여부 | 포함 | 제외 | 분배금만 포함 |
➡ 세금 측면에선 ISA + 국내 상장 ETF 조합이 유리
✅ 6. 실수령 금액 예시 (매매차익 기준)
- 1천만 원 수익 시 실수령액
- 국내 일반계좌: 약 846만원
- ISA(서민형): 약 914만원
- 해외직투: 약 835만원
- 1억 수익 시 실수령액
- ISA: 약 9,023만원
- 해외직투: 약 7,855만원
- ➡ ISA와 해외직투 차이: 약 1,168만원
✅ 7. 어떤 투자자가 어떤 계좌를 선택해야 할까?
ISA + 국내 상장 ETF 추천
- 연간 투자금 2천만원 이하
- 3년간 자금 묶이는 것 부담 없음
- 절세 및 종합과세 회피 목적
해외직투 + 해외 상장 ETF 추천
- ISA 납입한도 초과
- 환전된 달러로 장기 자산 운용 희망
- 자유로운 입출금 필요 (ISA보다 유동성 높음)
✅ 8. 수수료 기준 최저 ETF 정리
- 국내 상장 ETF
- S&P500: 라이스 미국 S&P500 (0.14%)
- 나스닥100: 코덱스 미국 나스닥100 TR (0.17%)
- 해외 상장 ETF
- S&P500: SPLG (0.02%)
- 나스닥100: QQQM (0.15%)
✅ 결론: 당신에게 맞는 ETF는?
"무조건 ISA가 좋다"는 말은 틀렸습니다.
- 단기 유동성이 필요한 사람: 해외직투 + 해외 상장 ETF
- 절세를 극대화하고 싶은 장기 투자자: ISA + 국내 상장 ETF
- 연간 투자금이 많은 경우: ISA와 해외직투 병행 투자 전략
ETF는 단순히 수수료만 비교할 게 아니라, 세금 구조, 계좌 특징, 나의 투자 목적까지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반응형
'경제&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발 대공황의 서막? 트럼프 관세 정책과 월가의 초비상 경고 (2) | 2025.04.24 |
---|---|
[필독] 주식 초보자를 위한 ETF 입문 가이드 (1) | 2025.04.23 |
배당 투자 시 반드시 알아야 할 세금 3종 세트 총정리 (배당소득세, 종합과세, 건보료) (0) | 2025.04.23 |
[SCHD 투자자 필독] 하락장에서도 배당 ETF를 믿고 모아가야 하는 이유 (1) | 2025.04.23 |
배당성장주 투자로 노후 자산 만들기: 복리효과와 우선주 전략까지 완벽 정리 (0) | 2025.04.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