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주식

절세계좌에서 SHD 전량 매도, 왜 지금 전략을 바꿨을까?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세법 개정 분석)

by 이크로(이코노미그로우) 2025. 4. 17.

 

안녕하세요! 이코노미 그로우 입니다.

 

최근 세법 개정으로 인해
많은 투자자들이 보유 중인 **미국배당 ETF(SHD)**의 운용 방식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저 역시  한국판 SHD라 불리는
솔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절세계좌(연금계좌, ISA)에서 꾸준히 매수해왔지만,
작년 중에 전량 매도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 선택은 단순한 매매 차원이 아니라
장기 투자 전략과 세금 구조 변화에 따른
전략적 리밸런싱의 일환이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왜 SHD를 전량 매도했는지,
어떤 변화가 있었고 앞으로의 전략은 어떻게 바뀌는지
자세하게 공유드리겠습니다.


📌 1. 핵심 배경: 세법 개정으로 바뀐 과세 체계

2024년부터 시행된 해외 ETF 배당소득에 대한 세제 개편으로 인해
절세계좌에서 투자하더라도 세전 배당금 전액 수령이 불가능하게 됐습니다.

🔻 바뀌기 전:

  • 절세계좌에서 받은 배당금은 세전 금액 100% 입금
  • 과세이연 혜택으로 복리 재투자 효과 극대화

🔺 바뀐 후:

  • 배당소득세 15% 차감 후 세후 배당금만 입금
  • 과세이연 효과 상실 → 복리 효과 축소

이제는 SHD에서 나오는 배당금이
바로 계좌에 100% 들어오지 않으며,
세금을 떼고 들어오기 때문에
절세계좌의 가장 큰 강점이 사라진 셈입니다.

 


📉 예시: 배당률 변화 시뮬레이션

항목변경 전변경 후
SHD 평균 배당률 3.5% 3.0%
세금 차감액 없음 약 0.5%
천만원 투자 시 배당금 35만원 30만원

단기적으론 미미해 보일 수 있지만,
장기 복리 구조에서 0.5% 손실은 치명적입니다.


🧭 2. 전략 전환의 이유: 절세계좌의 한정된 납입한도

절세계좌연간 납입한도
연금계좌 1,800만원
ISA계좌 2,000만원

이렇게 연간 투자 한도가 제한된 계좌에서는
과세이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ETF에 우선 투자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더 유리합니다.

따라서 저는
SHD 같은 배당 ETF는 절세계좌에서 제외하고,
대신 대표지수 ETF 중심으로 구성하는 방식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성하게 되었습니다.

 


🔄 3. SHD를 아예 버리는 건가요?

전혀 아닙니다.
저는 SHD를 여전히 좋은 배당 ETF라고 생각합니다.
단지, 투자 위치를 절세계좌에서 일반 계좌로 변경한 것뿐이에요.

📌 앞으로의 계획

  • 절세계좌: S&P500, QQQ, 파이 등 대표지수 중심
  • 일반계좌(직투계좌): SHD, 고배당 ETF 분할 매수
  • 은퇴 시점: 성장주 비중 줄이고 SHD 중심으로 리밸런싱 예정

💡 SHD를 일반계좌에서 매수하는 이유

  1. 어차피 배당소득세를 떼고 들어온다면
    차라리 **원조 SHD(Schwab US Dividend Equity ETF)**가 더 낫다
  2. SHD는
    • 거래량
    • 시가총액
    • 운용보수
    • 운용역사
      → 모든 면에서 국내 상장 ETF보다 더 안정적

👨‍👩‍👧‍👦 그럼 절세계좌에서 SHD를 하면 안 되는가?

반드시 그렇진 않습니다.

✅ 절세계좌에서 SHD가 여전히 유리한 경우

  • 은퇴가 가까우신 분
  • 피부양자 등록이 필요한 분
  •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 우려가 있는 분
  • 일반계좌로 이관 시 오히려 세금 부담이 더 커질 가능성 있는 분

→ 이 경우에는 여전히 절세계좌 내 SHD 보유가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 마무리하며

이번 SHD 전량 매도는
단순히 종목이 나빠서가 아니라
세금 구조 변화와 나의 투자 전략의 방향성에 따른 전략적 선택이었습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남들과 똑같은 상품이 아닌, 나의 상황에 맞는 투자 판단입니다.

지금처럼 시장이 흔들릴수록
감정보다 계획
포모보다 기준
그게 진짜 재테크의 본질이 아닐까요?

댓글